본문 바로가기
인문 읽기

독서일지 33. - 시라토리 하루히코 <지성만이 무기다>, 2017

by tobenice 2021. 5. 10.
728x90
반응형

독서일자 : 21년 2월 12일(금)

독서생각 :  성인이 되어서 공부를 하는 것이 참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냥 궁금해 하는 분야의 책을 읽거나, 인문고전, 스테디셀러를 펴서 읽을 때는 부담이 없고 흥미도 느낄 수 있었는데, 공부는 왜 그리 어려울까. 어떻게 하면 조금 더 의미 있게 성인의 공부를 해 낼 수 있을까? 저자의 노하우와 마음가짐을 배워보고자 책을 골랐다. 

독서내용
제1장 읽기에서 시작하는 공부_생각하고 이해하고 의심하는 기술

*01. 생각하는 것은 읽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 읽는 다는 것이 모든 것이 시작이 된다.

*02. 지성을 쌓는 독서 비결 : (1) 그 논리의 취지 (2) 논리의 근거 (3) 논리의 전제가 되는 지식, 관점, 가치관, 그 논리가 발생된 역사적 배경 (4) 그 논리의 구조) 라는 4가지 관점에서 책을 들여다 보며 독서를 하면 지성을 쌓을 수 있다.

*03. 뭔가를 이해한다는 것에 대해 

*04. 읽고 이해하기 위한 여섯가지 지침 : 저자는 마지막으로 다시 읽기를 강조하고 있다.

*05. 생각하는 방법을 능숙하게 구사한다. : 쓰며 생각하는 것에 나 역시 동의 하는 편이다. 

*06. 니체의 사상을 완성한 메모의 기술과 노트 사용법 : 눈에 뛰는 곳에 메모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말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전자매체에 저장하고 어느때든 꺼내어 보는 것(반복은 지나쳐도 좋다)도 좋다고 생각한다.

*07. 자신에게 맞는 문장으로 바꿔 쓴다 : 저자는 공부를 할때 잘 이해가 안되는 이유를 문장에 대한 풀이로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저자는 공부를 할때 문장을 자기 나름의 문장을 바꿔서 쓰는 연습을 많이 했다고 하며 이 방법을 추천해 주고 있다.  이것은 결국 이해인거 같다. 법조문에 나오는 어려운 단어와 문장 구조는 결국 추상적인 것이라 우리의 경험안에서 이해되지 않는것이다. 그러니 이해가 안되고 공부가 어려워 진다. 사례를 대입하고 비유를 통하여 공부를 하면 누구나 이해력을 향상 시킬수 있다.

*08. 내향적인 공부, 외향적인 공부

제2장 읽는 것이 무기가 된다_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01. 니힐리즘에 빠지지 않기 위해 : 경제성과 관계없는 사고방식이나 행동은 니힐리즘(허무주의)일까? 돈과 관련 없는 것들에게도 가치를 찾아낼 수 없을까? 의미나 가치는 누군가가 부여하는게 아니라 자신이 거기에서 의미나 가치를 찾아내야 한다.

*02. 독서를 통한 변신 : 책 한권에서 얻는 내적 경험은 실제 경험에 비해 많은 시간적 단축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에 독서를 통한 변신은 충분하다. 물론 책을 아무리 많이 읽어도 변하지 않는 사람은 어쩔 수 없다.

*03. 지식과 내적인 힘을 늘리는 지름길, 정독 : 저자는 책의 한 단어도 놓치지 않는 정독을 꼭 해봐야 하는 방법이라고 한다. 책 중에 고전은 꼭 정독을 하자. 단순히 책을 많이 읽었다고 하여 많은 지식을 습득했다는 증거가 되지 못한다. 책을 계속 오독했을 수도 있다.

*04. 편견을 가지고 읽지 않기 위해 : 책을 읽기 전에 사전에 관련 주제의 지식을 탐구한다.

*05. 새로운 발상을 이끌어내는 힘 : 자신이 익숙하지 않은 분야의 책을 읽는다.

*06.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 고전을 읽는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책은 질의 높음과 낮음이 가격으로 들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좋은 책을 선별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고전을 추천한다. 

*07. 사람들이 빠지기 쉬운 독서의 함정 : 책의 문장이 논리적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정답일 순 없다.

*08. 생각하는 힘을 잃어가는 사람들 :생각하고 정리하지 않고 읽기만 한다면 결국 자신의 생각을 잃어버리게 된다.

*09.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빛나는 고전 문학의 힘 : 

*10. 오로지 나 자신을 위해 책을 읽는다 : 책을 읽는 최초의 목적이 나 자신을 아는 것이 중심이기 때문이다. 

제3장 조용한 종소에서 시간을 늘리는 방법_공부를 위한 환경

*01. 가장 좋은 서재는 자신의 내면에 있다.

*02. 조용한 곳에서 집중하기

*03. 시간을 자신의 것으로 삼는 방법

*04. 시간을 늘리는 기술

*05. 공부를 시작하는 사람에게 전하는 특별한 충고 : 자발적 동기 부여 없인 시험에 도전하여 성공하기 힘들다.

제4장 성인의 공부는 인생을 가슴 떨리게 한다._하고 싶은 일과 재능 그리고 지성

*01. 진정으로 무엇을 공부하고 싶은가

*02. 재능에 대해

*03. 성인의 공부에는 두 가지 길이 있다.

*04. 정보, 지식 그리고 지혜에 대해

*05. 스페셜리스트가 아닌 제너럴리스트로

제5장 지금 무엇을 배워야 할 것인가_철학 사항과 종교

*01. 왜 외국어 학습은 어려울까

*02. 독학하는 힘에 대해 : 정상적인 식사, 영양, 운동, 수면이 모두 균형있게 이뤄져야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체력이 생긴다. 

*03. 관찰에서 생겨나는 통찰력 : 통찰이란 관찰한 사안들 간에 혹은 자신과의 관계에서 어떤 연결고리가 있는지 연역적인 사고 없이 간파해 내는 것이다.

*04.  유학생은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05. 시간이 부족할때 필요한 공부법

*06. 지금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 : 폭 넓은 공부를 하면 좋다. 단순히 자격취득을 위한 공부에서 멈추지 말고 분야를 더 깊고 넓게 알려고 공부하라. 종교와 철학이 가장 기본적 공부의 토대이다. 모든 것은 거기에서 시작되었다. 

타키투스Publius Cornelius Tacitus(55~120경, 로마의 역사가—옮긴이)의 《연대기》나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논고》, 불가코프Mikhail Afanas'evich Bulgakov(1891~1940, 우크라이나의 작가—옮긴이)의 《거장과 마르가리타》, 올리버 색스Oliver Sacks(1933~2015, 미국의 뇌신경 학자이자 작가—옮긴이)의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07. 철학과 종교에 대해 읽었으면 하는 책

*08. 공부를 즐겁게 해주는 책 : 《문명 이야기》 《모럴이 있는 인간은 그런 짓을 하지 않는다》《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동도 서도, 무에 대해》《신화의 세계》, 《신화의 힘》《중세의 일상》살인의 심리학《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행복론, 인간론》 《100대 유물로 보는 세계사》

《물리학을 낳은 위대한 질문들》《자유·평등·청결-목욕의 사회사》《소유냐 삶이냐 사랑한다는 것》《인간이란 무엇인가》 《탈무드 입문》


 

728x90
반응형